특별기획전

homeHomebar특별기획전화살표기획전시화살표 지축박차 천지흔들

지축박차 천지흔들

고대신문 창간 60주년 기념특별전 “지축박차 천지흔들”

주최 : 고대신문사, 고대신문동인회

주관 : 고려대학교박물관 기록자료실

후원 : 고려대학교교우회

전시기간 : 2007.11.02. - 2007.12.30.

전시장소 : 고려대학교박물관 기획전시실

2007년. 1947년 고대신문이 순간(旬刊)의 타블로이트판 4면으로 창간호를 발행한지 60년의 세월이 지났습니다. 그 동안 제호(題號)도 변했고 판형도 여러 차례 바뀌었으며, 신문의 내용과 구성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빠르게 지나온 시간 속에서 한 가지 변하지 않은 것이 있으니, “차라리 붓을 꺽을지언정 곡필(曲筆)은 하지 않겠다”는 소신입니다. 고대신문은 창간 이래 권력을 두려워하지 않는 직필(直筆)의 한 길을 걸었기에 학내 민주화는 물론 사회적 발언도 서슴지 않았습니다. “지축박차 천지흔들”은 고대신문이 오랜 세월 굳건히 지켜진 직필의 전통을 되돌아보고자 기획되었습니다. 고대신문의 지난 역사를 통해 대학언론이 나아갈 길을 고민해 볼 수 있는 자리이기도 했습니다.

대표적인 전시물

  • 고대신문 창간호(1947)

    타블로이드 4면, 순간제(旬間制) 대학신문의 효시인 고대신문은 학생써클인 여우회(麗友會) 회원들이 주축이 되어 1947년 11월 3일 ‘학생의 날’을 기하여 창간되었다. 민족해방의 기쁨과 신생 공화국 탄생의 진통이 교차하던 40년대 중후반 고대신문은 순수한 학생의 힘으로 창간됨으로써 대학신문 본연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 창간 제호(1947)

    이상은 교수가 제작한 것이며 정병환
    선생이 도안한 것으로 지령19호까지
    유지되었다.
  • 배길기 제호(1952)

    대구 피난시절 발간된 지령 20호부터는 서예가 배길기 선생이 쓴 제자에 석탑 빗무늬를 바탕으로 한 제호를 사용하였다.
  • 이상은 제호 (1953)

    고대신문이 고대신보로 제호가 변경되며
    지령 26호부터는 창간호 때 사용하던
    도안을 바탕으로 다시 이상은 교수의
    친필을 제호로 사용하였다.
  • 김 충헌 제호(1956)

    지령 100호부터는 이상은 선생의 친필에서 서예가 김충현 선생의 글씨로 제호가 변경되었다.
  • ◀ 지령 247호부터 고대신문으로
         제호가 환원된다.(1960)
  • ◀ 지령 247호부터 고대신문으로
         제호가 환원된다.(1960)
  • ▲ 현재의 제호(2011)
  • ◀ 지령 제15호(1952. 2. 4.)
    전란의 와중, 대구 원대동 임시교사에서 2년만에 속간호를 발행하게 된다.
  • 지령 38호(1954. 4. 30.) ▶
    창간 이후 38호부터는 대판 2면
    발행, 주간제(週刊制)를 실시하게
    된다.
  • ◀ 지령 100호(156년 4월 16일)
    아카데미즘을 위해 지령 100호부터 ‘권두논문제’를 실시, 이후 40년간계속된다.
  • ▲ 지령 484호(967년 11월 3일)
    창간 20주년을 기념하여 대학신문최초로 1면 칼라인쇄 발행
  • ◀ 지령 제15호(1952. 2. 4.)
    전란의 와중, 대구 원대동 임시교사에서 2년만에 속간호를 발행하게 된다.
  • 지령 38호(1954. 4. 30.) ▶
    창간 이후 38호부터는 대판 2면 발행, 주간제(週刊制)를 실시하게 된다.
  • ◀ 제974호(1984. 7. 9.)
    창간 이래 견지해온 세로쓰기를 버리고 가로쓰기 편집체제로 다시 태어난다.
  • 제1000호(1985. 5. 30.) ▶
    「고대신문」은 창간 38년 만에 지령 1000호를 맞이한다.
  • 지령 1291호(1997년 5월 12일)
    표지면 컬러 발행
  • 인터넷 고대신문(2011년 1월 현재)
    1998년 고대신문 홈페이지 오픈 매호별 지면기사를 인터 넷에 게재 2003년 9월 고대신문 사이트 오픈 2006년 9월 고대신문과 생활정보웹진 쿠키를 통합한 인터넷 고대신 문 쿠키 출범. 컨텐츠 강화로 사용자의 접속이 지속적 증가 중이다. ( http://www.kukey.com/ )
  • 수습기자 선발시험답안지(1984)
  • 기자증(1962, 1967, 1991)
  • 고대신문 일지(1969~1972)
  • 취재수첩(1987)
  • ◀ 방독면과 안전모(1980년대
    최루탄이 난무하는 취재현장에서도 고대신문 기자들의 카메라는 빛을 발했다.
  • 김문식(수학 56)교우가 1995년까지 40년간 모아온 고대신문 ▶
  • 역사상인물 가상재판

    고대신문사에서 주최한 <역사상인물 가상재판>은 1962년 개교 57주년을 기념해 시작된 제1회 석탑축전과 함께 개최되었다. 대학가 축제의 효시를 이룬 것이 석탑축전이었다면, 축제의 마지막 날인 5월 5일 개교기념일에 맞춰 개정되는 가상재판은 석탑축전의 하이라이트로서 대학인의 사랑을 받아왔다. 가상재판은 역사상의 실존 및 가공의 인물들을 안암골의 법정으로 출두시켜 날카로운 풍자와 준엄한 심판으로 사회에 경종을 울려 향락적, 소비적이라는 대학축제에 대한 일반인들의 편견을 불식시키는 큰 역할을 했다.
  • ◀ 제1회 역사상인물
    가상재판 초대권 (1962)
  • ▲ 제4회 역사상인물 가상재판 단체사진과
    가상재판을 소개한 동아일보 기사(1965.5.6.)
  • ◀ 제1회 역사상인물 가상재판을 재현한 닥종이 인형
    (오정봉 등 제작, 2007)